본문 바로가기

대외활동!!!/하이투자증권 X 뉴지스탁 알고리즘 투자 대회

하이투자증권 X 뉴지스탁 투자 대회 교육(4주차)

벌써 투자 대회 전 마지막 교육인 4주차가 되었다! 시간이 별로 안지난거 같은데 벌써 4주차라니...

시원 섭섭하다 흑..

금일은 직접적인 투자 알고리즘에 대해 배웠다. 

그럼 시작해보자!!

Chapter 1. 젠포트가 동작하는 방식

젠포트는 종목 선정과 주문 집행을 통해 수익을 냅니다.

종목 선정과 주문 집행의 중요도는 거래 빈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단기적인 전력에선 주문 집행이 전략의 성과에 많은 영향 주지만

리밸런싱(중장기) 전략에서는 종목 선정이 중요하다!! 

1. 종목 선정

a) 팩터

펙터는 종목들에서 공통적으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 이거나 한 시점에 존재하는 데이터들 (요인?)

→ 펙터는 정량적 특징을 가짐

조건식과 우선순위 모두 팩터로 만들어지며
조건식은 엑셀에서 필터링 같은 기능이고, 우선순위는 엑셀에서 정렬과 같은 기능
조건식 및 필터링 둘 중 어떤 게 더 중요? → 우선순위가 더 중요

우선순위는 전체 종목을 정렬시키는 영향력 가진다.(집단이 클수록)

그리고 조건식을 통해 더 나은 전략을 만드는 방식이 기본

반면, 조건식이 더 중요한 전략을 구성하는 방식도 있다,

조건식이 굉장히 타이트하여, 이를 충족하는 종목이 30종목 내로 선별된다면, 이 전략은 우선순위보다 조건식이 더 중요

2. 주문 집행

단타에서 매우 중요하다!!!!

매매가격 변동성과 기회비용, 주문 방법(분할, 시분할) 등이 있다.

a) 매매가격: 변동성과 기회비용

쌀사 비 쌀파!!(쌀 때 사고 비쌀 때 파는 것!) -> 수익을 위한 기본 원칙

→ 싸게 사려고 하면 할수록, 미체결 확률 높아진다.

대충 사면(시장가), 기회비용과 거래비용이 발생!

b) 주문 방법(분할 매수 매도)

분할 매매 → 지정된 가격에 지정된 비중으로 나눠 내는 주문 방식

분할 주문에서 시초가 보다 높은 값으로 걸어진 주문은 장 전에 미리 체결하고 시초가 보다 낮은 값의 주문은 장이 진행되면서 그 값을 터치하면 체결된다는 걸 인지해야함!!

3) 목표가&손절가 매도

단타의 꽃, 목표가 매도!

단타: 4%~8%

중장기: 10% ~ (원하는만큼) 

로 설정하면 된다!

시장가 매도 → 백테스트와 실전 비교했을 때 괴리가 매우 클 수 있다.

지정가 매도 → 목표가 도달했을 때 목표 가격에 매도 주문, 실전에서는 미체결이 날 수 있다

지정가를 더 추천한다!!!!

Chapter 2. 4주(20일) 투자 대회를 이기기 위해서]

크게 3가지 방법이 있다!

  1. 전략적 전략 선택
  2. 중장기 전략 로직
  3. 단기 트레이딩 전략 로직

중장기 투자전략

시장과 베타가 높다.

시장 대비 좋은 전략을 만들 수는 있지만, 시장 수익률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a) 성장 점수

{성장점수} > 90

b) 상장 폐지 피하기

c) 전년 대비 올해 성장률(YOY)

고수익 단기 트레이딩 전략

시장과 베타 낮다, 만들기 어렵고  알파가 자산이기에 공개 쉽지 않아

a) In memory of Jessie

b) 추세

c) 눌림목

A {일별주가상승률} < 0 -> 어제 하락한 종목을 뜻한다!

C ({종가}-{저가}/{고가}-{저가}) < 0.5 -> IDS 

매수 가격 기준 전일 종가는 -1.5 보다 적게 가져가거라~~

위에 소개한 단기 트레이딩 전략에서는 눌림목이 가장 좋아보임!

Chapter 3. 백테스트의 함정

백테스트를 무조건 믿으면 안 된다!!

백테스트를 해보면서 막 36000%의 수익을 내는 전략도 찾았는데 사실 이건 백테스트의 함정을 생각하지 않은 수치라서 곧이곧대로 믿으면 안돼~~

총 7개의 함정이 존재한다.

1) 미체결 괴리

백테스트에선 매수(매도) 되었으나, 실전에서는 매수(매도) 되지 않아 발생 → 보통 지정가 주문에서 주로 발생

2) 슬리피지 괴리

백테스트보다 불리한 가격에서 실전 체결된 경우를 의미

매수의 경우 시초가 주문 시(혹은 상대 호가 주문) 주문 순서가 밀리는 경우 발생

매도의 경우 목표가&손절가 매도 시 ‘시장가’ 옵션 매도 시 발생

3) 소형주 경고

종가 청산(시장가 주문) 시 시가총액이 낮거나 저유동성 종목의 경우 ‘불공정거래’ 행위에 해당 할 수 있음.
KRX의 직접적인 경고(소명되지 않은) 3회 누적 시 주식 거래 제한될 수 있는 가능성 발생함.
유동성이 너무 낮은 종목을 거래하지 않아야 하며, 종료 시간 지정하여 청산하거나 지정가 매도가 유리함.

4) 트레이더 임팩트(시장 충격)

단일 종목에 많은 자금이 매수 혹은 매도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효과

→ 같은 알고리즘을 많은 사람들이 돌렸을 때

호가 쌓임에 의한 미체결 혹은 과매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문 집행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트레이딩 전략인 경우, 주문 집행에서 얻는 알파가 크기에 운용 가능한 자금의 규모를 고려해야 합니다. (최대 운용 자금을 한번에 투입하는 것이 아닌, 한 단위씩 늘려가며 투자 성과 측정)

5) 상한가 따라잡기

오늘 상한가 돌파 된 종목을 상한가에 사겠다. → 현실 불가, 백테스트는 가능

→ 상한가 종목은 상한가가 풀리지 않으면, 매수할 수 없다.

6) 과최적화

너무 타이트한 조건 혹은 커버리지가 낮은 조건 사용시 유의(NULL인 값도 있을 수 있음)

미리 오를 종목이나 테마를 아는 상태에서 지정하여 백테스트 하는 행위

특정 옵션을 미세조정하며, 최적의 백테스트 결과를 도출하는 행위(그리드 서치)

그리드 서치가 타당성을 가지려면?

→ 로컬 최적 전략, 값 변경에 의한 전략 강건성 존재, 유의한 train, test set 검증 통과

7) 일봉 백테스트 - 틱 백테스트의 차이

일봉 백테스팅은 시가/고가/종가/저가만 사용하기 때문에 설정 조건에서 먼저 발생하는 이벤트를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매도조건 우선순위에 따라 매도가격 결정

단기 보유하면서 목표&손절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일봉 백테스팅보다 틱 백테스트를 이용하여 검증하시길

 

 

 

- 4주간의 교육 후기 -

월요일 오후 2시가 정말 좋았는데 이제는 갈 수 없는 게 슬프다...
(여의도에 있는 교육장에 가면서 꼭 가고 싶은 엔투 건물 보는 게 삶의 낙이였는데...)
교육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유익했고 확실히 나는 일반 투자보다 퀀트 투자를 하는 게 맞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감정 배제! 무신경 가능!


비록 주 1회 2시간 정도의 시간이었지만 나에게 알고리즘 투자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내는 데에는 충분한 시간이었고 그와 관련된 지식 또한 많이 가져갈 수 있는 시간이었다. 물론 훨씬 더 공부해야 하지만!!
이제 남은 건 한 달 동안의 투자 대회인데 생각해놓은 나만의 알고리즘 전략을 열심히 백테스트 하면서 다듬어 봐야겠다.

 

그동안 좋은 강의 및 기회를 주신 뉴지스탁 강사님들과 하이투자증권에 감사 인사를 드리고 싶다. 그동안 고생 많으셨고 좋은 프로그램을 기획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