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변수(variable)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변수란?
-> 단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상의 공간
변수의 선언
1. 변수 저장 값이 어떤 타입인지 지정
2. 변수 이름
int 는 자료형(정수), age는 변수 이름!
변수의 초기화
-> 변수 사용전에 처음으로 값을 지정하는 것!!(알 수 없는 값이 남아있을 수 있기에)
int year = 0; int year = 14; 등
변수의 타입
-> 값의 종류로는 문자와 숫자로 나눌 수 있고 숫자로는 정수와 실수로 나눌 수 있음
타입의 불일치
-> 타입이 불일치할 경우 타입이 달라도 저장 범위가 넓은 타입에 좁은 타입의 값을 저장하는 것은 허용
참조형 변수
-> 객체의 주소를 저장
1. 클래스이름 변수 이름; -> 변수의 타입이 기본형이 아닌 것들은 모두 참조변수이다.
2. 참조 변수는 null 또는 객체의 주소 값을 가진다.
다음은 Date 클래스 타입의 참조변수 Date 클래스 타입의 참조 변수 today를 선언한 것
Date 객체를 생성, 주소를 today 참조 변수에 저장!
여기서 new는 객체를 생성하는 연산자이다.
2. 기본형
논리형(boolean)
1. 1byre
2. true 와 false 중 하나를 값으로 가짐
3. 조건식과 논리식 계산에 사용
문자형(char)
1. 2byte
2. 문자 저장하는데 사용
3. 변수에 하나의 문자만 저장 가능
정수형
1. byte - 1byte, short - 2byte, int - 4byte, long - 8byre
2. 정수 저장에 사용, 주로 int 사용!
3. byte는 이진 데이터에 사용, short는 c언어 호환용이다.
실수형
1. float - 4byte, double - 8byte
2. 실수 저장에 사용, 주로 double 사용
3. 상수와 리터럴
상수
1. 한 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2. 변수 타입 앞에 final을 붙여주기만 하면 끝!!!!!!
3.. 상수의 변수명은 전부 대문자 그리고 여러 단어 있으면 _로 나누기
상수는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해야함!!!!
리터럴
1. 프로그래밍 변수의 값들이 원래 상수인데, 한 번 지정하면 변경할 수 없는 값을 상수라고 정의해서 상수 대신 리터럴이라는 용어로 사용. 즉, 그 자체의 값을 의미
- 정수 리터럴: 42, 0, -123 등과 같이 정수 값을 나타냅니다.
- 부동 소수점 리터럴: 3.14, -0.01과 같이 실수 값을 나타냅니다.
- 문자열 리터럴: "Hello, World!", 'OpenAI'와 같이 문자열 값을 나타냅니다.
- 불리언 리터럴: true 또는 false와 같이 논리값을 나타냅니다.
- 배열 리터럴: [1, 2, 3]와 같이 배열을 나타냅니다.
- 객체 리터럴: { "이름": "홍길동", "나이": 30 }과 같이 객체를 나타냅니다.
변수가 가지고 있는 값? 이라고 생각해
4. 연산자(operator)
->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거의 C언어와 유사하다.(그렇기에 생락하겠다.)
1. 기억해야할 것은 &&(and)가 ||(or)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것 그리고 /(나누기) 하면 그냥 몫만 나옴
산술 변환
1. 연산 수행 직전에 발생하는 피연사자의 자동 형변환
2. 이항 연산자는 두 피연산자의 타입이 일치해야 연산 가능
피연산자의 타입이 서로 다르다면 연산 전에 형변환 연산자로 타입 일치시켜야함
이 두 개를 덧셈하려면 둘 다 int or float로 바꿔줘야함
바꾸고 싶은 형을 (원하는 연산자)로 바꾸면 된다.
Tip
작은 타입에서 큰 타입으로 형변환하면 자동 변경
'Programming 언어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참조 자료형 변수, 접근 제어 지시자 및 정보 은닉, 객체 자신을 가리키는 this (0) | 2023.08.29 |
---|---|
5. 클래스의 생성자 (0) | 2023.08.29 |
4. 자바 클래스 및 함수와 메서드 (0) | 2023.08.27 |
3. 자바의 배열 (0) | 2023.08.27 |
1. 자바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0) | 2023.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