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위 클래스가 생성 되는 과정
하위 클래스를 생성하면 상위 클래스가 먼저 생성됨!
ex) new VIPCustomer()를 호출하면 Customer() 가 먼저 호출
클래스가 상속 받은 경우 하위 클래스의 생성자에서는 반드시 상위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
2. super 키워드
1. 하위 클래스에서 가지는 상위 클래스에 대한 참조값
2. super()는 상위 클래스의 기본 생성자를 호출함
3. 하위 클래스에서 명시적으로 상위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하지 않으면 super()가 호출(이때 반드시 상위 클래스의 기본 생성자가 존재해야한다) -> 근데, 어치피 컴파일러에서 기본 생성자 없으면 자동으로 넣어줘서 괜찮음
4. super는 생성된 상위 클래스 인스턴스의 참조값을 가지므로 super를 이용하여 상위 클래스의 메서드나 멤버 변수에 접근 가능
3. 형 변환(업캐스팅)
상위 클래스로 변수를 선언하고 하위 클래스의 생성자로 인스턴스를 생성
ex) Customer customerLee = new VIPCustomer();
1. 상위 클래스 타입의 변수에 하위 클래스 변수가 대입
2. 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의 타입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상위 클래스로의 묵시적 형 변환이 가능
3. 상속 관계에서 모든 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로 형 변환(업캐스팅)이 된다. -> 역은 성립x
어차피 하위 클래스 생성자로 객체를 생성해도 상위 클래스가 힙 메모리에 먼저 생성되니까 형 변환이 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하자
클래스의 계층 구조가 여러 단계인 경우
지정한 형의 변수나 메서드로 접근이 가능하다.
'Programming 언어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추상 클래스의 의미 및 응용 (0) | 2023.08.30 |
---|---|
10. 메서드 재정의(overring), 다형성, 다운 캐스팅 및 instanceof (0) | 2023.08.30 |
8. 객체 간 상속, 객체 배열 및 ArrayList, 캡슐화 (0) | 2023.08.30 |
7. STATIC 변수, 메서드 및 응용 (0) | 2023.08.30 |
6. 참조 자료형 변수, 접근 제어 지시자 및 정보 은닉, 객체 자신을 가리키는 this (0) | 2023.08.29 |